본문 바로가기

Diary/review

B급 영상의 복고적 연출에 대한 분석 비스무리

ppt 만들기 전에 대충 정리


B급 문화(일명 '병맛'코드) 의 개념


주류사회의 지배적인 성향과 태도, 관점, 사고에 대한 조롱 섞 인 말과 반감을 드러내기도 하며 부정적인 태도를 갖는 경향 즉 '고급문화'와 구별되는 '저급한 문화' 



고오급 문화(인간의 지식과 정서를 고양시키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

  • 이성적, 논리적, 문학적
  • 교양, 절제, 세련됨, 조화


삐 ㅡ급 문화

  • 감성적, 비논리적, 직설적
  • 저속함, 과장, 촌스러움, 차이, 혼돈 [각주:1]


B급 문화가 대중문화로 떠오르는 이유


  • 힘든 삶 속에서 주류 세력에 대한 풍자와 비판을 통해 카타르시스[각주:2][각주:3]를 느낌.
  • 현대사회의 과도한 경쟁 구조, 낮은 취업률 등으로 사회적 긴장과 불안감이 높아짐 → 현대인들의 스트레스가 증가 → 현실로부터 일탈하고 싶은 욕구, 단순하고 재미잇는 것을 선호하게 됨.
  • 일방적으로 문화를 받아들이지 않고 각자 취향에 맞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개성을 표현하는 소비자들
출처: B급 문화 스타일을 배경으로 한 언어유희(Pun)의 실험조형 디자인연구 - 이주현

B급 유머 표현 기법


<고의적 저예산 연출> <복고> <패러디>


복고: 과거의 모양, 정치, 사상, 제도, 풍습 따위로 돌아감. 



복고적 연출 (90년대 공익광고 느낌) + 비속어 


복고적 연출

  • 이질적인 후시 녹음 (편집 이후 편집된 영상을 보면서 대사와 내레이션, 음향 효과 등을 녹음하는 것)


  • 4:3 비율 해상도
  • 의도된 저화질
  • 전체적으로 채도, 명도가 낮음. (색이 바랬음)
  • 파랑-주황,노랑의 보색패션
  • 부모님 젊은 시절 패션

  • 오버 액션
  • 조악한 그래픽 합성.

의도된 저예산 연출에 복고적 연출이 주류문화의 고급스러운 세련된 연출과 상반되어 사람들에게 신선함을 주고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이런 건전한 90년대 공익광고를 모방한 것에 '부모님 안부를 묻는', '빡침' 등의 건전함과는 상반되는 비속어, 유행어를 집어넣음으로써 사람들에게 웃음을 준다.


주인공의 복장과 배경의 컴퓨터가 명도대비를 적절하게 이룸으로써 혼란스럽지 않고 색이 서로 잘 어울린다.

또한 보색이지만 채도가 낮은 청자켓 + 비교적 채도가 높은 노란색이 나름 조화를 이룸.


<고의적 저예산 연출> <복고적 연출> 의 극....


AC부-TOHYO都 (TOOPYO도)(東京都選挙管理委員会、2016年5月) 일본 도쿄도선거관리위원회에서 만든 18세 투표격려 애니메이션 (일본은 만 18세부터 선거권 행사 가능)


  • 저화질
  • 부자연스러운 애니메이팅 
  • 색상대비가 심함(형광색, 너무 많은 색이 들어감) + 명도차이가 거의 안남 = 색이 조화를 이루지 않음 => 오히려 이 점이 신비로움? 괴랄해서 사람들한테 신선함을 줌.
  • 그러나 마스코트 캐릭터한테는 검은색 윤곽선을 그려줘서 배경에 묻히지 않게 함.
  • 보색을 자주 사용 
  • 한 장면에 너무 많은 오브제와 효과가 들어가서 산만한 느낌을 준다.




<혼모노 옛날고대영상> 


아이들의 복장 색에 집중

오버액션

군.무.



  1. Ibid., p.53, p.55, p.37, pp.56-57, pp.80-81 참조 [본문으로]
  2. 마음 속의 억압된 감정을 언어나 행동으로 표출하여 정신적 안정을 되찾는 것을 의미 [본문으로]
  3. 비극적 상황을 봄으로써 마음에 있던 긴장감, 불안감, 우울함 등이 해소되는 것 [본문으로]

'Diary >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드 나잇 인 더 파리> 영화 감상문  (0) 2019.05.15
<킹스스피치> 연출 분석  (0) 2018.07.08
마츠코 속 보색대비  (0) 2018.04.08